반응형
반응형
와이파이 연결됨, 하지만 인터넷이 안 될 때 해결 방법
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와이파이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지만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는 공유기, 네트워크 설정, ISP(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) 등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.
1. 공유기 및 모뎀 문제 확인
먼저, 공유기나 모뎀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다음 단계를 시도해 보세요.
- 공유기 및 모뎀의 전원을 껐다가 10~15초 후 다시 켭니다.
- 공유기의 LAN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인터넷이 연결된 다른 기기에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테스트해 보세요.
2. IP 주소 및 DNS 설정 확인
IP 주소 충돌이나 DNS 서버 문제로 인해 인터넷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.
- Windows:
설정 → 네트워크 및 인터넷 → 어댑터 옵션 변경 → Wi-Fi 속성 → IPv4 설정
- Mac:
시스템 환경설정 → 네트워크 → Wi-Fi → TCP/IP
에서 DHCP 새로 고침 - 스마트폰:
설정 → Wi-Fi → 연결된 네트워크 → 고급 설정
에서 IP 주소 확인
3. DNS 변경하기
DNS 서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Google Public DNS나 Cloudflare DNS를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Google DNS:
8.8.8.8
,8.8.4.4
- Cloudflare DNS:
1.1.1.1
,1.0.0.1
4. 네트워크 초기화
네트워크 설정을 초기화하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Windows:
설정 → 네트워크 및 인터넷 → 네트워크 초기화
- 아이폰:
설정 → 일반 → 전송 또는 iPhone 재설정 → 재설정 → 네트워크 설정 재설정
- 갤럭시 (안드로이드):
설정 → 일반 관리 → 재설정 → 네트워크 설정 재설정
5.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(ISP) 문제 확인
ISP(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) 측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.
- 다른 기기에서도 인터넷이 안 된다면 ISP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.
- ISP 홈페이지에서 네트워크 장애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.
결론
와이파이는 연결되었지만 인터넷이 안 되는 문제는 공유기 설정, IP 주소 충돌, DNS 문제, ISP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위의 방법들을 하나씩 시도해 보면서 문제를 해결해 보세요.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!
반응형
'IT, 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PU와 GPU 차이점, 역할 및 활용 분야 (0) | 2025.03.16 |
---|---|
CPU 사용률이 100%일 때 해결 방법 (0) | 2025.03.16 |
아이폰 느림 현상 해결 방법 (0) | 2025.03.15 |
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충돌 해결 방법 (0) | 2025.03.14 |
인터넷 느림 해결 방법 (0) | 2025.03.14 |